top of page

Room Stories by Quick-Step | Vol. 4 꿈꾸던 침실 공간의 완성




Quick-Step Flooring for Bedroom | 침실공간의 퀵스텝 바닥재


편안하고 조용한 쉼의 공간, 침실.

퀵스텝의 기술력으로 삶의 질을 높이다.






INTRO


– 퀵스텝 바닥재만이 제공할 수 있는 온전한 쉼의 공간, 침실.


포근하게 몸을 기대어 깊은 잠에 들고, 여유로운 아침을 맞이 하는 공간인 침실.

침실은 무엇보다 편안함이 중요한 공간입니다.

편안한 공간을 완성하는데는 여러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군더더기 없는 미니멀한 인테리어와 가구, 따뜻한 온기를 주는 조명과 같이

말이죠. 그 중에서도 바닥재는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퀵스텝 바닥재의 특허 기술은 잠들기 좋은 무드를 만들어줄 은은한 디자인 뿐만 아니라

조용함까지 더해 주어 침실 공간을 온전한 쉼의 공간으로 만들어줍니다.




TECHNOLOGY


– 원목의 따뜻한 무드 구현과 소음저감 기술이 만들어 낸 편안하고 조용한 공간의 완성


퀵스텝의 세계적인 특허기술 중 프레스드 베벨 기술과 디지터치, 컴포트 코어 기술이 적용된 퀵스텝 바닥재는 하루의 일과를 마무리하는 쉼의 공간에 가장 완벽한 바닥재입니다.

프레스드 베벨 기술과 디지터치 기술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마루는, 원목마루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성과 내구성을 갖추면서도 원목이 주는 따뜻한 무드와 촉감을 그대로 재현해내어 공간에 편안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알파바이닐의 컴포트 코어 기술은 충격 흡수 기능으로 좀 더 조용한 공간에서 평온하게 잠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바닥재입니다.


  • Pressed Bevel (프레스드 베벨)_ 바닥재 가장자리 경사면까지 디자인층과 표면 텍스쳐가 이어져, 사실적인 원목의 느낌을 구현

  • Digituch (디지터치)_ 입체감있는 깊이 조절, 자연 그대로의 질감 구현 기술로 원목의 촉감을 그대로 재현

  • Comfort Core (컴포트 코어)_ 부드러운 쿠션층을 통합한 인체공학적 기술, 발소리를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편안한 보행감 제공







DESIGN


– 차분한 침실 공간을 위한 바닥재 컬러 선택


침실 인테리어는 차분하고 편안한 무드 조성이 핵심입니다.

그래서 미니멀한 인테리어 디자인, 안정감있는 가구의 배치, 따뜻한 분위기를 위한 조명의 조도까지 신경을 쓰게 되죠.

하지만 침실 인테리어에서 바닥재를 빼놓고 이야기 할 순 없습니다. 그 모든 인테리어 요소의 베이스가 되기 때문입니다.


차분한 침실에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따뜻한 우드톤, 뉴트럴 컬러(그레이, 베이지, 라이트브라운)의 마루가 잘 어울리고 화이트나 우드톤의 가구들, 은은한 조명과도 잘 조화를 이룹니다. 좀 더 모던한 스타일을 원한다면 블랙계열의 컬러로 차분하면서도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해 보세요. 또한 은은한 파스텔톤 계열의 바닥재는 아이들을 동화 속 꿈나라로 이끌어 줄 것입니다.












CERTIFICATE


– 가장 친환경적이어야 하는 공간


침실은 건강한 수면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간입니다. 건강한 수면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큼, 우리가 잠자는 공간의 환경 또한 중요합니다.

퀵스텝 바닥재는 친환경성을 인정받아 다양한 국내외 인증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침실 공간의 실내 공기질에 도움이 되는

프랑스의 AFFSET A+등급과 핀란드의 M1인증을 받았고, 국내에서도 친환경 제품임을 인증하는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입니다.







KEY POINT


– 이것만 기억하세요.


침실은 집안에서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공간인 만큼 가장 편안하고 조용한 쉼의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퀵스텝 바닥재가 선사하는 발끝에 닿는 따뜻한 촉감과 고요함, 상쾌함으로 아침을 맞이하세요.



샘플 요청 & 상담 문의

샘플 요청이나 제품 상담이 필요하신 분은 지금 바로 문의하세요!

전화 상담: 02-537-6875~6








에디터 : 신명마루 편집부

사진 출처 : QUICK-STEP, (주)신명마루, Unilin (유니린)

Comments


bottom of page